- - 전공분야 : 소방행정학
- - 주요관심분야 : 재난관리, 소방행정, 재해구호, 사회네트워크
- - 연구실 : 법정대학 212호
- - 연락처 : 051)890-4291
- - 이메일 : samuel@deu.ac.kr

- 충북대학교 행정학 박사(재난관리, 소방행정)

- 국가위기관리학회 이사
- 위기관리이론과 실천 이사/정책정보센터장
- 이재민사랑본부 이사
- 한국공공행정연구원 공공안전정책연구소 소장
- 국가위기관리연구소 객원연구위원
- 소방방재청 고위공직자 청렴도평가 외부평가위원
- 부산소방공무원 채용시험 면접위원
- 행정안전부, 국립방재교육연구원, 공군대학, 중앙소방학교 외래교수
- 소방청 정책자문위원
- 국가위기관리학회 부회장

- 재난관리론(공저), 대영문화사, 2006. 01.
- 소방행정학개론(공저), 대영문화사, 2011. 08.
- 재해구호복지론(공저), 대영문화사, 2012. 02.

- 위기대응단계에서 긴급구조수송체계의 개선방안: 청주시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을 중심으로, 석사학위논문, 2003. 02.
- 한국의 지방자치단체 재난대응체계: 정책네트워크 이론의 호혜성과 확장성을 중심으로, 박사학위논문, 2007. 08.
- BRM을 활용한 한국 재난대응체계의 개선방향(단독), 현대사회와 행정, 2005. 08.
- 미래사회의 환경변화와 재난관리시스템 발전전략(공동), 현대사회와 행정, 2005. 12.
- 지방자치단체 역량 수준별 평가 방안 연구(공동), 한국비교정부학보, 2006. 07.
- 지방자치단체의 주민기피시설 설치방안에 관한 연구(공동), 충북지방자치학회보, 2006. 12.
- 효율적 재난대응을 위한 지방정부 역할 개선방안(공동),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, 2006. 12.
- 네트워크를 통한 효율적 재난대응체계 구축(공동),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, 2007. 02.
- 행정학에서 재난관리분야의 학문적 연구경향(공동),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, 2007. 10.
- 네트워크 관점에서 지방정부 재난대응과정 분석(단독), 한국행정학보, 2007. 12.
- 취약소비자 생활안전 위해관리(공동), 국가위기관리연구, 2007. 12.
- 한국의 재난대응 기능간 우선순위 분석(단독), 국가위기관리연구, 2007. 12.
- 재해복지 구호정책에 있어서의 정책네트워크 접근의 유용성(공동),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, 2008. 01.
- 지방자치단체의 재난대응 네트워크 분석(단독), 한국지방자치학회보, 2008. 03.
- 청소년 정치․행정 형성요인과 정치․행정 의식수준간의 관계(공동),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, 2008. 05.
- 한국 지방자치단체의 재난대응 네트워크 활용방안(단독), 월간 자치행정, 2008. 07.
- 지방공무원 사이버 교육훈련의 학습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(공동),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, 2008. 09.
- 민선4기 자치단체장의 평가와 발전방향(공동),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, 2008. 12.
- 지역축제 활성화를 위한 장소마케팅 전략(공동), 지역정책연구, 2008. 12.
- 지방자치단체의 브랜드 홍보 방안에 관한 연구(공동), 충북행정학보, 2008. 12.
- 미래사회의 환경변화와 소방정책의 발전 방향 연구(공동), 국가위기관리연구, 2008. 12.
- 국가 사이버 위기관리체계 강화 방안에 관한 연구(공동), 한국위기관리논집, 2008. 12.
- 우편업무조직에 있어 리더십과 조직몰입 및 직무만족과의 관계(공동),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, 2009. 05.
- 정책네트워크 관점의 재난관리 민․관․군 협력방안 연구(공동), 충청지역연구, 2009. 06.
- 효율적 위기대응을 위한 위기관리기관의 협력체계 구축방안(공동), 국가위기관리연구, 2009. 06.
- 병원행정 서비스의 품질 향상을 통한 고객만족도 제고방안(공동),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, 2009. 07.
- 소방공무원의 스트레스요인과 직무만족간의 관계(공동),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, 2009. 12.
- 지방자치단체 갈등법규 분석(공동),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, 2009. 12.
- A Study of Fire Service Policy Theory for Establishing Fire Science(공동),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, 2010. 02.
- 위험인지측면에서 국민생활안전의 2요인이론(공동), 국가위기관리학회보, 2011. 06.
- 재난안전 관련 법제 분석(공동), 한국위기관리논집, 2011. 12.
- 산업복지관점에서 소방공무원의 근무환경에 관한 실증연구(공동), 한국위기관리논집, 2011. 12.
- 지방자치단체 재난관리체계의 현황과 개선방안(공동), 한국지방자치연구, 2012. 02.
- 유럽 지방자치단체 재난관리체계의 현황과 개선방안(공동), 한국치안행정논집, 2012. 02.
- A Content Analysis of Case Study Research on the Crisis Management in Korea(공동),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, 2012. 02.
- 한국 소방의 부패방지 방안에 관한 연구(공동), 한국위기관리논집, 2012. 04.
- 한국위기관리 연구경향 분석(공동), 한국위기관리논집, 2012. 06.
- The Politics of Institutional Design: Comparing Agency Selection in Japan and the U.K(공동), 한국부패학회보, 2012. 06.
- 산업보안의 연구경향 분석(공동), 한국치안행정논집, 2012. 08.

- 참여정부 구축 국가 위기관리체계의 효율적 운영 및 강화방안 연구(공동), 청와대비서실(국가안전보장회의), 2007. 09.
- 의연금의 효율적 배분방안 연구(공동), 전국재해구호협회, 2007. 10
- 국민생활 안전관리를 위한 전략개발 및 운영방안(공동), 행정자치부, 2007. 11.
- 국가 사이버 위기관리 체계 강화 방안(공동), 국가보안기술연구소, 2008. 10.
- 국가위기관리연습 통합모델 개발 연구(공동), 행정안전부, 2008. 12.
- 지방행정체제 개편에 따른 효율적 소방력 운영방안 연구(공동), 소방방재청, 2010. 09.
- 충남지역의 생활안전․취약계층 보호를 위한 U119 활성화 방안 연구(단독), 충남발전연구원, 2010. 10.
- 지방자치단체 재난관리시스템 개선방안(공동), 행정안전부, 2011. 07.
- 국가·지방간 소방사무의 합리적 분담 및 재원확보 방안(공동), 경기소방본부, 2012. 02.
- 긴급구조통제단 운영 개선 방안 연구(공동), 소방방재청, 2012. 10.
- 재난환경 변화에 따른 과학적 재해관리체계 강화를 위한 법제연구: 미국 편(공동), 한국법제연구원, 2012. 12.